11차 툴비교 workbench 모델들을 분석 experimenter 모델간의 정확도들을 비교분석 Knowledge Flow 임의대로 모델들을 조정하여 분석 Simple CL Knowledge Flow보다 더 세밀하게 조정하여 분석 스크립트 자체를 수정해서 가져올 수 있다. open java코드와 옵션을 제공해준다. java공부가 잘 되어있다면 수정해서 확장하여 모형을 만들어낼 수 있다. weka 공부 2022.02.25
10차 KNOWLEDGE FLOW 그래픽을 이용해서 작업순서도를 정하는 것 ------------------------------------------------------------- 1. csv loader을 가져와 놓고 더블클릭하여서 browse칸에다가 조사할 데이터를 넣는다. ------------------------------------------------------------------- 2.그후 표준화를 시켜야한다. 표준화시키기위해 filters -unsupervised -attribute- normallize에 들어가서 normalize를 생성하여 연결한다(오른쪽버튼-> dataset클릭) ------------------------------------------------------------------ 3.이제 타.. weka 공부 2022.02.25
9차 군집분석 여러명의 사람들이 모여있을 때 고객들이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보기위해 고객들을 세분화하는 것 군집분석을 타겟마케팅이라고도 한다. 군집분석활용의 예) 카드회사에서 명세서와 함께 상품설명서를 보내주는데 어떤 타겟에게 어떤 제품홍보를 같이해야할지를 팜플렛같은것을 짤 때 고객세분화(군집분석) 후에 보낸다. 군집분석의 예) 미국에 있는 전력회사를 군집분석하는 이것을 군집분석하면 회사들이 이런식으로 나눠진다. 군집분석의 방법엔 여러가지가 있다. -계층적 방법 군집을 서로 붙혀놓은 다음에 최종적으로 자르는 방법 -비계층적 방법 미리 군집을 정해놓고 비슷한 사람들끼리 모으는 방법 군집을 정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군집간의 거리계산보다 각 계체들간의 거리를 쟤는 것이다. 각 개체들 간의 거리를 쟤는 방법중 가장 많이 사.. weka 공부 2022.02.25
8차 비지도학습 비지도학습은 지도학습과 다르게 targetvariable이 없다. 지도학습은 해답을 알고있다. 해답을 가장 잘 정확도가 올라갈 수 있도록 해준 것이 지도학습이다. 비지도학습은 target변수가 없다. 정답을 모르는 상태이지만 어떤 규칙이 있음을 알아내는 과정이다. 비지도 학습의 예로서 -연관규칙(Association) -군집분석(Clustering) -knowledgeFlow(그래프로 구조를 그리는 방법) *연관규칙(association rule)이란? 서로간의 아이템들간의 어떤 연관성이있는지를 보는것 이다. 어떤 상품들끼리 같이 구매가 되는 지를 보는 것으로 장바구니 분석 이라고도 불린다. 마케팅에서의 활용 -교차판매,묶음판매,상품진열 시에 많이 사용한다. 교차판매-a라는 상품을 팔 때 b라는 상품을 .. weka 공부 2022.02.25
7차 모델비교 weka에서experimenter를 실행한다. 그러면 이런 화면이 나온다. 그리고 새화면을 만든다. 그러면 아래 동그라미부분의 창이 열린다. 그리고 addnew를 실행한다. 이전에 실행했던 diabates를 가져온다 여기서 이전에 했던 분석기법을 불러온다. 여기서 choose에서 rules의 ZeroR(baseline accuracy를 체크하는 역할 한다.), trees의 J48(decision tree중 하나) -조건을 minnumObj를 10개로 바꾼다. trees의 randomforest functions의 logistic functions의 SMO functions의 MultiLayerPerceptron을 가져온다. 가져와서 설정의 hiddenlayer을 2,2로 바꾼다. 전체적으로다음과 같이 6.. weka 공부 2022.02.25
6차 다층신경망 신경망은 중간에 여러가지 값을 두어서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 이다. Weka에서 다층신경망 사용하기 1.classifiers-functions-MultilayerPerceptron선택 2.흰색 화면 들어가서 어떻게 돌아가는지 보기위해gui를 TRUE로 조정한다. 은닉층을 5,5(시간이 많이 걸림으로 2개로 설정함)로 조정한다. 그결과 -> 이 창이 생성된다. 아까 은닉충설정에서 조정한 5개 5개가 은닉충으로 설정이 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Num Of epoch는 반복횟수를 의미한다. start를 누르고 실행완료후 2번째 epoch를 실행한다. 이 과정을 총 10번을 거친다. 10번을 다 돌리면 최종모델이 도출된다. 결과값:75.1302 00 gui로 나타내는 것은 너무 오래걸리므로 GUI true값.. weka 공부 2022.02.25